Oracle 서버 구축
#1 root 비밀번호 설정 후 root 접속
sudo passwd
su root
#2 apt 업데이트 후, 오라클 설치에 필요한 몇가지 패키지들을 설치
apt-get update
apt install -y alien libaio1 unixodbc bc unzip
#3 아래 링크로 접속해 3번째에 위치한 Linux x64 버전 다운로드하고 /home/ubuntu 폴더로 옮겨서 파일의 압축 해제
https://www.oracle.com/database/technologies/xe-prior-release-downloads.html
chown -R ubuntu /home/ubuntu
unzip -x oracle-xe-11.2.0-1.0.x86_64.rpm.zip
#4 /home/ubuntu의 경로 하부에 Disk1경로로 이동해서 rpm 패키지를 deb 패키지로 변환 (약 5분 소요)
cd /home/ubuntu/Disk1/
alien --scripts -d oracle-xe-11.2.0-1.0.x86_64.rpm
"oracle-xe_11.2.0-2_amd64.deb generated" 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면 아래와 같이 deb파일 생성이 완료
#5 변환한 파일을 사용해서 설치를 진행합니다. (여기까지 완료 시, 오라클 설치 완료)
dpkg --install oracle*.deb
#6 오라클 설정 (8080 포트, 1521 포트 변경은 X, enter 누르기) / 비밀번호 설정은 특수문자 제외하고 입력
/etc/init.d/oracle-xe configure
#7 systemctl start oracle-xe를 입력해 오라클을 실행, systemctl status oracle-xe를 입력해서 잘 실행되는지 확인
systemctl start oracle-xe
systemctl status oracle-xe
#8 리스너 등록 및 text파일 수정
cd 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/network/admin
vi listener.ora
아래 스크립트 listener.ora에 추가
(SID_DESC =
(GLOBAL_DBNAME = XE)
(ORACLE_HOME = 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)
(SID_NAME = XE)
)
#9 1521포트가 사용중인지 확인
netstat -nlpt
#10 오라클 환경변수 설정하기
vim ~/.bashrc
.bashrc에 아래 스크립트 추가하기
export ORACLE_HOME=/u01/app/oracle/product/11.2.0/xe
export ORACLE_SID=XE
export NLS_LANG=`$ORACLE_HOME/bin/nls_lang.sh`
export ORACLE_BASE=/u01/app/oracle
export LD_LIBRARY_PATH=$ORACLE_HOME/lib:$LD_LIBRARY_PATH
export PATH=$ORACLE_HOME/bin:$PATH
source ~/.bashrc
#11 리스너 상태확인
lsnrctl status
#12 sql 접근하기 (sqlplus 입력 후, user-name은 기본 아이디인 system 입력, 패스워드는 6번에서 설정한 값)
sqlplus
#13 oracle 사용자 계정 생성
alter user hr account unlock identified by hr;
hr로 접속해보기
#14 sql developer에서 접속 테스트해보기 (아래 상태:성공)
'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 DB #3] Ubuntu 18.04 / node.js / Oracle 클라이언트 (0) | 2022.04.26 |
---|---|
[Oracle DB #1] - Server(윈도우)/Client(서버) (0) | 2022.04.18 |
[Ubuntu] NGINX + Laravel7 + Vue (0) | 2021.08.27 |
AWS 접근 후, ROOT 설정해주기 (0) | 2021.07.15 |
AWS + nodejs + Vuejs (0) | 2021.07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