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Server

AWS 접근 후, ROOT 설정해주기

▶ 1. root 비밀번호를 먼저 변경하여 준다.

#sudo passwd root

 

▶ 2. sshd_config 설정정보 변경

#sudo vi /etc/ssh/sshd_config

:set nu 를 입력하여 보기 좋게 라인수 표시.

38 라인의 "PermitRootLogin yes" 부분의 주석을 해제하고 저장 (:wq)

 

 

▶ 3. 루트 경로에 .ssh 경로를 생성하여 준다.

#sudo mkdir /root/.ssh

나와 같은 경우는 이미 디렉토리가 있어 생성되진 않았다.

 

 

▶ 4. ec2유저의 인증키를 root로 복사한다.

#sudo cp /home/ec2-user/.ssh/authorized_keys /root/.ssh   ->  (ec2유저로 로그인을 했을경우)

#sudo cp /home/ubuntu/.ssh/authorized_keys /root/.ssh   ->  (ubuntu로 로그인을 했을경우)

 

▶ 5. sshd를 리스타트 한다.

#sudo systemctl restart sshd

 

 

 

https://goddaehee.tistory.com/193

 

[AWS] 8.AWS EC2 root 계정 활성화 시키기

[AWS] 8.AWS EC2 root 계정 활성화 시키기 안녕하세요. 갓대희 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 [ AWS EC2 (리눅스) root 계정 사용하기 ] 입니다. : ) 이전 포스팅을 통해 EC2 리눅스를 설치 해보았다. 다만 root.

goddaehee.tistory.com

https://min-nine.tistory.com/138

 

[쉽게 따라하는 AWS] 05. AWS EC2 인스턴스 root 접속 , root 비밀번호 로그인 하기

 AWS 05. AWS EC2 인스턴스 root  접속 , root 비밀번호 로그인 하기 ssh는 전에 말한것 처럼 비밀번호로 접속하는 방식이 아닌 2가지 key (개인,공인)를 가지고 접속하는 프로토콜. 이번에는 ec2-user가 아

min-nine.tistory.com